압도적 탑라인 성장, 카카오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

지난 주말 언택트로 컨퍼런스로 진행되었던 삼성증권의 시원시원한 “21년 글로벌 시장 전망 및 유망종목”을 시청했습니다. 첫번째 시간은 오동환 애널리스트의 “알리바바, 구글, 네이버 정부의 규제는 위기인가? 기회인가?"였는데, 플랫폼  기업에 대한 정부 규제와 그에 따른 성장 우려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특히나 요즘같이 연일 전해오는 알리바바의 반독점 이슈 속에서는 관심이 가져지는 주제였습니다. 아무리 성장성이 있는 기업이라고 해도 정부 규제에서 자유롭지 않다면 그 또한 문제. 특히나 우리에게도 네이버와 카카오라는 대형 플랫폼이 있으니깐요. 

 

좋아요는 눌렀어요. :) (출처: 삼성증권 유튜브(https://youtu.be/pntcdzo3ogo))

 


늘 네이버인가 카카오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둘 다 좋은 기업이니 둘 다 사자라는 의견을 들었는데 요 날은 카카오가 살짝 우위에 있었던 것 같습니다. 최근 주가 역시도 카카오가 좀 더 잘 나가는 분위기였고요. 사실 제 도토리 주머니에는 네이버, 카카오 둘 다 담겨진 상태라 둘 다 잘 되면 가장 좋지만요. 삼성증권의 컨퍼런스 이후 마침 현대차증권에서 카카오에 대한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4분기 실적이 나오기 전에 한번 살펴보는 카카오, 주요 사항 체크*체크


 

라이언 전무님 명함?! (출처: https://www.kakaocorp.com/kakao/introduce/ci)

 

카카오, 압도적인 탑라인 성장에 주목
현대차증권(201222)

톡비즈, 페이, 픽코마가 4분기 탑라인 성장 견인

4분기 연결 매출액은 1.24조원(YoY +46.1%, QoQ +12.5%)으로 탑라인 성장률은 고점을 기록한 전분기를 재차 상회할 전망. 톡비즈 내 비즈보드와 커머스 모두 전분기 수준의 높은 성장률을 이어가며 3분기에 이어 50% 이상의 매출성장이 가능할 전망. 톡비즈는 #탭으로의 지면 확대 및 광고주들의 코로나로 인한 이연된 연간 마케팅 예산의 4분기 집행이 집중된 효과. 커머스는 선물하기 내 배송상품 비중 확대 및 톡딜 호조에 기인. 페이는 연간 GMV 가이던스(70조, 4Q 23조)를 여전히 유지하는 가운데, 당사 전망치(20F 68조 4Q 21조) 기준으로 YoY +60%. 픽코마는 11월까지의 월매출 흐름은 3분기(일거래액 15억원) 대비 QoQ 성장이 가능할 전망

*용어정리: GMV(Gross Merchandise Value)
전자상거래 업체에서 주어진 기간동안 이뤄진 총 매출액, 총 상품 판매량. 전자상거래 업체의 규모를 측정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업체의 기업가치 평가 시 중요 지표가 되고 있음(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처음에는 엄청 어색할 줄 알았는데 이제는 뭐 당연해진 톡비즈(출처: https://business.kakao.com/info/talkboard/)

 

 

마케팅 비용과 인센티브 영향으로 영업이익 변수 존재, 흔들림 없는 큰 그림!

픽코마,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강한 마케팅 드라이브를 걸고 있고, 인센티브 반영이 예정됨에 따라 영업이익의 경우 당사 전망치를 하회할 가능성 존재, 그럼에도 하방은 크지 않다는 판단. 두자리수 영업이익률(OP 1,240억원 이상)은 무난히 달성 가능. 광고, 금융, 콘텐츠를 중심으로 40% 전후의 압도적인 탑라인 성장과 주요 자회사 BEP 달성에 따른 증익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 단, 모빌리티의 경우 4분기 코로나 심화로 인한 이동량 급감으로 일시적인 매출 위축 불가피.

*용어정리: BEP(Break-even point)
일정기간 수익과 비용이 같아서 이익도 손해도 생기지 않는 경우의 매출액으로 손익분기점(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택시 외에도 다양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 중인 카카오 모빌리티 (출처: https://www.kakaomobility.com/contents/10)

 


2021년 금융, 모빌리티, 구독경제 등 소비자 효용 신사업 강화

2021년 탑라인 성장은 신사업, 유료콘텐츠, 톡비즈 순의 기여 예상, 페이 및 모빌리티에서 연간 영업흑자의 유의미한 실적을 만들고 도입 초기의 구독경제 사업모델을 발전시키는 전략이 될 것으로 전망.
소비자 효용을 높이는 신사업들에 대해 외형 확대와 수익성 추구를 동시에 달성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예상

모바일 플랫폼으로의 쏠림 현상 가속화 수혜는 계속됨
목표주가 425,000원 유지
1. 금융(페이/은행/증권/카드), 커머스 모빌리티, 구독경제가지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 가속화 수혜가 집중될 전망
2. 페이, 모빌리티, 재팬 등 막 BEP를 넘어선 자회사들의 마진 레버리지 발생에 따른 연결 OP의 가파른 증익 예상

 

내년 상장을 앞둔 카카오 페이 (출처: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0092908301020828a55064dd1_18)

 

 



4분기에도 기분 좋은 실적 반영이 기대되는 카카오. 올 하반기 카카오게임즈 상장 이후 내년에는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지 모두 상장 예정 중입니다.

카카오를 떠올리면 빠질 수 없는 네이버는 해외에서만 상장 소식이 있습니다.(라인(일본), 네이버웹툰(미국)) 국내에서 상장한 계열사가 전무한 네이버와 차근차근 계열사를 상장시키는 카카오. 오랜 기간 인터넷 기업 강자로 자리잡은 네이버는 풍부한 자금력으로 본사 내 신사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나 후발 주자인 카카오는 외부 투자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였고, 투자금 수익화에 대한 요구도 많았을 것이며, 카카오게임즈의 상장으로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주요 자회사와 상장 소식에 대해 잘 정리한 표까지 체크하고 포스팅 마무리 합니다. 4분기 실적 발표 때 또 올께요!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0&aid=0003307730

 

 

+ 같이 읽으면 좋은 "카카오" 글

raccoon8329.tistory.com/85

카카오 3분기 실적발표 일정 2분기 실적보고서

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 하루에도 수십, 수백개의 메세지를 전달해주는 카카오톡, 알고지낸 사람들 뿐만 아니라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주고 받는 오픈채팅, 최근 들어 친구들

raccoon8329.tistory.com


raccoon8329.tistory.com/87

카카오 IR발표자료로 기업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카카오 3분기 실적발표 일정과 2분기 실적보고서를 살펴보았습니다. :) 카카오 홈페이지 내 투자정보 > IR자료실 내에는 실적보고서 외

raccoon8329.tistory.com


raccoon8329.tistory.com/97

카카오 2020년 3분기 실적발표

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 11월 5일(목)은 카카오 3분기 실적발표일입니다. 지난 2분기 실적발표를 보며 3분기에는 어떤 숫자와 이야기가 담겨져 있을지 궁금했는데, 카카오 홈페

raccoon8329.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