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R5 전환 반사이익 예상 심텍 주가

반응형

안녕하세요, 주식으로 세상을 보는 구리 입니다. :)

주말동안 밀린 리포트 살펴보다가 심텍 보고서 내 DDR 단어를 발견하고 꽤 반가웠어요. DDR이라니, 야이야이야~ 야이야이야~ 버터플라이~ 학창시절 추억의 리듬게임 DDR(저는 집에 발판까지 사두고 밟았...)은 아닐테고 찾아보니 컴퓨터 부품이었네요. DDR은 SD램에 비해 데이터 처리속도가 2배 빠른 D램으로 1997년 삼성전자가 제안해 업계 표준이 되었다고 합니다. 오늘 살펴볼 기업인 심텍은 반도체 및 통신기기용 PCB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2022년 DDR5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평균공급단가 상승으로 추가적인 영업이익률 개선이 전망된다고 하네요. 패키징기판 호황 대장주, 반도체 관련주, DDR5 관련주 로 심텍을 다뤄진 포스팅이 많은 것도 그 때문이었네요. 오늘도 꼼꼼하게 공부해봅니다. 심텍!

 

기업개요: 심텍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 회사로 2015년 8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심텍홀딩스의 인쇄회로기판 제조사업부문 일체를 영위글로벌 Big 4 메모리 칩 메이커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과 Big 5 패키징 전문기업 ASE, Amkor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여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 중. 동사의 제품은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선도기술인 패턴 매립형 기판(ETS)은 2016년 세계일류화 상품에 지정된 바 있음.(출처 : 에프앤가이드)

ETS(Embedded Trace Substrate) 회로 패턴을 절연층 안쪽에 매립시켜 초미세회로 구현 (High Density I/0) 및 고신뢰성을 제공하는 기판...일단 한글이라서 읽긴 읽지만 뭔말인지 모름 T_T (출처: 심텍 홈페이지)


심텍: 3분기 거침없는 질주~
(대신증권, 21.09.24.) 목표주가: 37,000원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37,000원(22년 목표 P/E 12배 적용) 유지

2021년 3분기 실적도 컨센서스 상회 분기 최고 전망.
영업이익(연결) 431억원. 40.4%yoy, 37.9% qoq 증가
종전 추정치 391억원,  컨센서스 402억원 상회
분기 기준의 최고 실적 예상.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호조 배경
1. 지속적인 MSAP 부문 투자 > 고부가 제품인 MCP와 FC CSP(SiP 포함), 서버향 D램(GDDR6)의 매출 증가, 믹스 효과로 전체 평균공급단가(ASP) 상승 
2. BGA 중심의 반도체 기판 업황 공급 여력의 제한적 > 가격 상승 지속, 소수 업체에 수요가 집중 
3. 2분기대비 원달러평균이 3% 상승 추정


2021년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596억원, 487억원 전망

1) MSAP 투자로 메모리(MCP 등)와 비메모리(FC CSP, 서버향 GDDR6) 영역에서 고부가 매출 비중 확대
평균공급단가 상승 > 영업이익률 10%대 개선 전망. 
반도체 기판의 수요 증가 + 공급여력 제한 >> 2022년 매출과 영업이익의 성장도 가능 판단

*용어정리: MSAP(Modified Semi-Additive Process)

미세회로제조공법

MSAP 궁금해서 구글링했다가 소오름, 이 정도면 심텍이 아니라 알파벳(구글 주식) 사야할 분위기. 정확하게 해당 포스팅 내 용어 정리한 부분만 검색 되어 나옴...무섭다... 해당 포스팅 주소는 https://hunter-trader.tistory.com/32

2) 2022년 DDR5 전환 본격화 > 심텍의 반사이익 예상.
이전 DDR4대비 사양의 상향과 가격 상승 감안,
메모리모듈 및 반도체 기판(FC BOC)에서 평균공급단가 상승으로 추가적인 영업이익률 개선 전망, 
생산 능력 증대 없이 높은 가동률 유지가 긍정적으로 기여.
글로벌 점유율 1위 및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을 최대 고객으로 확보

출처: 대신증권 리포트


심텍 홈페이지 > IR&PR > 증권사 분석 리포트(http://www.simmtech.com/irpr/report_list.aspx)
한경컨센서스로 보기 어려운 증권사(신한, 한투 등등) 리포트도 다 정리해서 올려둠 :)

출처: 대신증권 리포트(21.06.02)
출처: 신한금융투자 리포트(21.08.06)

 

*용어정리: DDR5 DRAM
기존 D램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린 DDR D램이 2001년 출시된 이후 다섯 번째 업그레이드된 기술 표준.
데이터 전송속도가 5200Mbps(초당 메가비트)로, DDR4의 3200Mbps보다 1.6배 빨라졌다.
풀HD급 고화질 영화 11편의 데이터(41.6기가바이트)를 단 1초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 소비량도 30%가량 줄었다.


삼성전자가 2018년 2월 16Gb DDR5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데 이어 SK하이닉스가 11월 15일 2세대 10나노급(1y) 16기가비트(Gb) DDR5 D램을 개발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DDR5 DRAM (한경 경제용어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