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
2020년 11월 전세계가 주목하는 미대선, 개표가 막바지에 다달으면서 바이든 우세로 보입니다.
개표 중반 트럼프가 우세가 나타나자 설마 정말 트럼프가 되는 거 아닌가, 숨어 있던 샤이 트럼프를 올해에도 감지 못 한 거 아냐 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지만 더이상의 이변은 없었습니다. 개표가 더 진행되면서 바이든의 승리가 확신되자 예상했던 변수가 등장합니다. 바로 트럼프의 불복, 트럼프의 개표중단과 소송전 돌입 소식 입니다.
바이든으로 판세가 기운 2020 미대선, 여기에 향후 트럼프의 불복 시 제가 가지고 있는 아주 작고 작은 도토리알들은 어떻게 될지 대신증권에서 발행한 2020 미국 대선 시나리오를 통해 미리 살펴보고자 합니다.
2020 미국 대선 시나리오: 승자와 트럼프 불복 사이
대신증권 20.11.04.
과거는 과거일 뿐, 시대 흐름에 순응해야 보이는 현실
바이든으로 기울어진 운동장, 트럼프 불복시, 대통령 확정 전까지 증시 불안은 지속
11.2일 현재 바이든 후보 승률은 89% 전세가 뒤집힐 기세는 없음
4년 전 힐러리와 바이든이 다른 점
1. 민주당 지지성향이 높지 않은 지역에서 바이든 지지율이 더 높게 나오고 있는 점
2. 4년 전 트럼프를 당선시킨 원동력인 백인 대졸 미만 유권자 지지율이 높다는 점
바이든 당선 가능성 60% 예측
블루웨이브를 통해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재정정책(1. 긴급예산 편성, 2. 민주당 주도의 5차 경기부양책 처리)을 우선적 중점과제로 채택할 것
용어정리: 블루웨이브
*블루웨이브(Blue Wave) : 민주당이 백악관과 상·하원 모두 차지하는 푸른 물결
*레드웨이브(Red Wave): 공화당이 백악관과 상·하원 모두 차지하는 붉은 물결
트럼프 재선 경우 기존 정책 기조 및 의회 구성 그대로 유지, 경제 재건을 위한 통화/재정정책 압박이 기존보다 강화
이슈: 트럼프 불복 가능성, 2020년 제43대 대통령 선출 과정 감안 시, 대통령 확장 전까지 증시 불안 요인
투자전략: 대통령 선출 확정 후, 되찾는 증시 안정, 위험자산(성장주) 비중 확대 계기로 삼을 필요
미국 대선 예측 현황
미국 대선 결과별, 시나리오 접근
바이든 당선 시
바이든 : 국민 통합과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헌신 // 트럼프: 불복 가능성 농후, 주대법원 소송 제기(재검수 요구)
의회구성: 상원 민주당, 하원 민주당
우선 중점 과제: 코로나19 위기극복
차기 중점 과제: 오바마 행정부 정책 계승, 미.중 경쟁기조 지속, 한미 동맹 강화, 북한 제재 강화
분야별 정책
[재정정책] 교육, 학생 부채 보조금 지급, 그린뉴딜(기후 투자 정책) 등에 재정지출, 기업(부자) 감세 정책은 축소 혹은 폐지될 가능성
[통화정책] FED에 대한 통화완화 압박은 경감. 기준금리 인상을 점진적으로 재개할 가능성. Forward guidance와 Steady stance 유지
[무역정책] 미국 중심의 보호 무역주의 정책은 유지, 다만 WTO 등 국제 경제기구의 가치에 크게 반대되지는 않을 전망
[헬스케어정책] 오바마의 메디케어 정책 유지, 메디케이드의 공공시스템으로 전환, 약가 인하
[경제/금융시장 영향]
경제: 경제 모멘텀 둔화(집권 초반기), 주가 모멘텀 둔화(집화 초반기)
금융시장: 달러 약세, 일정기간 후 금리 인상 재개
용어정리: 메디케어 정책
메디케어(Medicare):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노인의료보험제도. 사회보장세를 20년 이상 납부한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에게 연방 정부가 의료비의 50% 지원.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트럼프 불복시 20.12.12. 부시 공화당 후보, 선거 35일만에 제43대 대통령 확정
35일간 S&P500 -4.2%, 나스닥 -14.2% 하락,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 역시 각각 -1.9%, -12.4% 하락함
과거 사례 감안하면 대통령 확정 전까지는 증시 불안 확대 예상
미국 대선(정권 교체된 경우), 전후 금융지표 추이
과거 주가, 환율 등 금융지표의 방향성은 미국 대선 전후로 일정한 관계가 나타남
대선 후 정권 교체된 경우, 대선 직전 2개월간 증시 하락, 달러 인덱스 상승 → 대선 후 안정화 방향
대선 후 불확실성 완화로 증시 변동성도 안정을 되찾았다는 점이 중요!
핵심 투자처: 미국 증시 선호, 중장기 상승 추세 유효
성장주가 견인하는 증시 상승 패턴
올해 9월 이후 성장주의 빈자리를 가치주가 대신하는 양상, 키맞추기 개념일 뿐 기존 주도주인 성장주 선호 지속 전망
시간가치를 고려한 투자성과 측면, 향후 비대면 솔루션 수혜를 과점할 기업에게 시장은 프라미엄을 줄 수 밖에 없음.
경제 정상화 이후, 고용 및 소비 활동 증가로 기업이익 개선 속도 증가
S&P500 EPS 증가율(YoY), 코로나19 영향력 희석, 2020년 -14.4%
2021년 전 섹터 플러스 전환, 경기소비재>산업재>소재>금융>통신 순으로 개선 예상
리스크는 코로나19 재확산. 리포트 안 읽어보신 분들은 꼭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