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AMZN.US) 3분기 실적발표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


휴일 별다른 일도 없이 시간이 후딱 지나 아이 하원이 코 앞까지 다가왔습니다. 자투리 시간에 아마존 3분기 실적발표 전에 나온 점검사항에 대한 짧은 증권사 리포트를 읽었네요. 정리해서 임시저장까지 해두었는데 포스팅할 시간을 놓쳐 실적발표가 있고 일주일이 지나서야 다시 꺼내 보았습니다.

아마존닷컴 (AMZN.US) 실적발표를 앞두고 몇가지 점검 사항
하나금융그룹, 20.10.27


2020 프라임 데이~연말 쇼핑시즌, e-com 비중 확대에 주목

10월 29일 발표되는 3분기 실적발표는 3분기 뿐만 아니라 4분기 가이던스가 중요.
올해 프라임데이를 이전과 달리 4분기(10월)에 실시, 올해 연말 쇼핑시즌에 온라인 비중에 대한 기대감이 높기 때문

출처: 아마존 글로벌 셀링

 

 


3분기 실적발표 전 점검사항

1. 3분기 매출은 시장 컨셉(+32%, yoy) 상회, 가이던스 상단(+33%, yoy)에 최소 부합하거나 상회할 것으로 전망
프라임데이가 전년도에는 3분기, 올해는 4분기에 진행되어 영향이 있겠으나 2분기 프라임 회원 가입 증가가 높았고, 온라인 구매습관 본격화, 인도 프라임데이 최고 실적 달성(3분기 진행), 브라질 등 신규 해외시장 진출 효과 등이 주요인

2. 3분기 영업이익은 가이던스 상단 50억 달러(+58% yoy)에 가까운 수준으로 전망
올해 3분기에 물류와 배송 인력 및 시스템 확대를 공격적으로 진행했으나 전년동기 프라임 1일 무료배송 투자로 인해 기저가 낮음
올해 클라우드 영업이익이 3분기에도 30%를 쉽게 상회, 기여가 클 것으로 전망

3. 프라임데이 효과와 올해 연말 쇼핑시즌 온라인 비중 확대 추이를 고려하면 4분기 매출 성장은 시장 컨셉(+28%)를 충분히 상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올해 프라임데이 외부판매자 총판매액 35억 달러(+60% yoy) 달성 발표
eMarketer 등 리테일 전문 리서치 기관들은 프라임데이 전체 판매액 규모를 최소 100억 달러로 추정(~50% yoy)
eMarketer는 올해 연말 쇼핑시즌에 미국 전체 리테일 e-commerce가 36% yoy 증가 전망
9월에 물류와 배송 시설 100개 확충, 4분기 수요 급증에 대비한 아마존이 시장 확대 수혜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됨


올해 아마존의 매출 기대감과 내년부터 시작될 가파른 수익성 상승을 고려하여 투자매력도 높음 의견을 유지

 


"투자매력도 높음 의견을 유지한다."지만 제 계좌에 감히 담지 못할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비싼 기업인 아마존. 흑흑 슬프네요. 요 리포트를 처음 읽었던 11월 2일(월) 기준 아마존의 주가는 3,036.15달러. 지난 주 코로나 재확산 및 대선 전 영향으로 -5.45% 정도 빠졌습니다. 아마존만 빠진 건 아니고 나스닥 자체가 -2.45% 빠진 채로 주말을 맞이하였습니다. 이후 다시 반등하여 3,311.37이네요. 리포트 상의 아마존 52주 최고가는 3,531, 최저가는 1,733. 코로나가 터진 3월에 크게 하락했던 것이 이후 급반등으로 이어진 코로나 최대 수혜주가 되었죠. 

 

출처: 연합뉴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1981386)

 

 

그리고 2020년 3분기 실적이 10월 29일(현지시간) 나왔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로 기록된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을 훌쩍 넘은 엄청난 실적이었습니다. 사랑해요, 아마존. (왜 내 계좌에는 없을까요...)

올 3분기 아마존의 매출은 961억5000만달러(약 108조 8400억원), 영업이익 63억달러(약 7조 1284억원) 기록
매출 및 영업이익 고르게 성장.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7% 증가.

지역별로는 북미지역 39% 증가한 594억달러(약 67조 222억원), 
글로벌 매출은 37% 증가한 252억달러(28조 5188억원)기록

특히 영업이익 63억달러는 특별합니다. 26년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된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었던 52억달러를 한 분기만에 넘어버렸다는 점이죠. WOw... 영업이익도 늘고, 임직원 수도 2분기보다 약 28%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역시 아마존! 코로나19로 확산된 언택트 소비 문화의 최대 수혜 기업이라는 수식이 아깝지 않을 정도 입니다. 계속되는 코로나19 확산세와 하반기 서서히 살아나는 소비심리, 이 둘이 서너지 효과로 작용될 것으로 예상돼 3분기 결과를 바라보며 4분기 실적가 기대되는 바 입니다. 

+덧 아마존의 드론 배송 소식
8월 미국 연방항공청(FAA)에서 드론(무인기) 배송 서비스 '프라임에어' 운항 허가를 받았다고 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