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IR발표자료로 기업 알아보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카카오 3분기 실적발표 일정과 2분기 실적보고서를 살펴보았습니다. :)  카카오 홈페이지 내 투자정보 > IR자료실 내에는 실적보고서 외에 최신 IR 발표자료도 같이 첨부되어 있는데, 꽤 흥미롭고 재밌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IR? IR! 기업설명활동

기업이 투자자와의 관계에서 신뢰를 쌓기 위해 기업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 Investor Relation.

기업은 IR과정에서 투자자가 요구하는 기업의 실적과 전망을 공개함, 강점뿐만 아니라 약점도 공개해 적극적으로 투자자의 이해를 구함. 
기업의 경영내용과 미래에 대한 전망 등 기업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주식투자자에게 제공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전)

 

카카오 2020년 9월 IR

 

 

 

항해를 떠나는 라이언이 2분기 IR자료의 표지를 장식했네요. 라이언은 카카오프렌즈 내에서도 단연 독보이는 캐릭터입니다. 2012년 7개의 개릭터로 시작한 후 3년 만에 새롭게 선보인 캐릭터였던 라이언의 회사 내 첫 존칭은 "라 상무님". 이후 카카오프렌즈의 매출 상승 및 2017년 캐릭터 선호도 평가 1위에 오르는데 압도적으로 공헌을 하여 "라 전무님"으로 승진하였다고 합니다. :)

라이언, 라 전무님이 이끄는 카카오의 현재와 미래, 차근차근 살펴볼까요?

 

 

카카오, 기술과 사람이 만드는 더 나은 세상

 

 

2006년 설립된 카카오의 역사가 한 눈에 보여지는 그림입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민 SNS 카카오톡이 2010년에 나온 이후 2013년 가입자 1억명에 달성하였네요. 2012년 카카오 프렌즈가 나왔는데, 그 전까지는 메시지 주고 받을 때 문자로만 보냈나 싶어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시기적절, 귀엽고, 재치있는 이모티콘 없이 메시지 주고 받을 생각하면 굉장히 심심할 거 같습니다. 2014년 카카오와 다음이 합병 한 후 카카오의 사업은 여러 변화가 있었네요. 2015 카카오 택시, 2016 멜론, LOEN인수, 2017 카카오 뱅크,  2018 카카오엠까지 "카카오톡"으로만 바라보기엔 너무나도 커진 모습입니다.

 

46백만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 이용시간 기준 시장점유율 97%

 

 

전세계 최다 일간 접속 메신저답게 카카오는 "전국민의 카카오" 입니다. 특히 97% 이용시간 기준 시장점유율 및 국민의 88%가 매월 이용한다는 점에서도 반박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국 내 충성도가 높은 메신저인 것 같습니다. 이미 국민 메신저로 자리잡은 카카오톡이기에 드라미틱한 그래프는 없지만 월간 활성 이용자는 분기별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카카오 모바일 서비스 영역: 광고, 커머스, 모빌리티, 금융, 게임, 웹툰 등

 

 

개인적으로 카카오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앞선 국내 점유율(메신저하면? 카카오톡!)과 바로 사업영역의 다각화 부분입니다. 단순 메신저에서 광고, 커머스, 모빌리티, 금융, 게임, 웹툰, 음악 등등 생활 깊숙이 침투한 카카오의 영역. 이 모든 게 카카오의 먹거리. :)

독보적인 모든 생활 영역 이용자 데이터를 기반한 신규 서비스 성공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지, 카카오게임즈, 카카오프렌즈 모두 제가 실생활에서 쓴다는 점, 제 주변에 많은 사람들과 함께 사용한다는 점은 카카오톡의 사용을 넘어 각 영역에 대한 관심을 둘 수 밖에 없는 매력적인 요소들 인 것 같습니다. 

달라지는 광고 시장, 카카오톡의 톡비즈

 

 

전체광고 시장에서 카카오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13%, 카카오의 광고 비즈니스, 톡비즈는 매년 큰 폭으로 성장 중, 2020는 전년도 대비 +50% 매출을 목표로 잡았네요.

 

 

 

카카오의 비즈니스 모델은 88% 매월 이용하는 국민들을 대상으로 채팅목록을 통해 선물하기, 톡스토어, 카카오페이 등등으로 이어져 상품구매, 서비스예약, 상담 등으로 이어집니다. 누군가와 메시지, 사진, 동영상을 주고 받거나, 어떨 때는 (영상)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카카오톡을 거쳐야하는데 이미 그들의 비즈니스는 시작되었다! 였네요. :)

카카오톡 선물하기, 톡딜, 메이커스 안 써본 분?!

 

 

특히, 톡비즈 내에서는 눈을 끌었던 것은 요 페이지 였습니다. 요즘 들어 친구들이 계속 톡딜을 보내고, 같이 일하는 직장 동료분들은 메이커스를 자주 이용했거든요. 최저가 찾을 필요 없이 메신저로 공유해서 같이 구입하면 가격이 할인되는 톡딜, 쌈박한 아이디어 상품을 먼저 만날 수 있는 메이커스. 한번 구입 이후 또 다시 톡딜과 메이커스를 이용하는 충성고객으로 변한 제 지인들을 보니 요 시장이 점차 커지는 게 기대됩니다.

프리미엄유료 서비스 확장, 모빌리티

 

 

귀여운 카카오 캐릭터로 랩핑된 택시를 보며 카카오가 뭔가 또 하나보다 싶었는데, 그 내용이 여기 있었네요. 급할 때 타게 되는 택시가 정작 보이지 않아 발 동동 구르다가 결국 카카오T 앱 설치해서 택시를 호출한 경험. 이제는 단순 호출에 국한 되는 게 아니라 카카오T 내에서도 서비스의 다각화 및 프리미엄 유료가 확장되었니다. 카카오T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유료 서비스의 옵션이 확대되는 과정이 흥미로워 보였습니다.

대표적인 핀테크, 카카오페이

 

 

쉽고 빠르고 재밌다 게다가 귀여움, 카카오뱅크

 

 

페이 역시 이용하는 대다수의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카카오 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재밌거나 빠르고 만족스러운 상품 혹은 너무너무 귀여운 카드까지 내년도 상장이 기다려지는 카카오뱅크도 카카오에서는 빠질 수 없는 사업 영역입니다.

아예 안 해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 보고 끊은 사람은 없음. 웹툰/웹소설 미리보기 - 카카오에게 보낸 나의 사이버머니

 

 

스토리는 역시 다음웹툰카카오웹툰! 웹툰 뿐 만 아니라 소설, 게임, 영화, 드라마로 이어지는 콘텐츠의 선순환에서 돈 버는 건, 카카오 :) 특히 앞으로 더 확장될 콘텐츠의 글로벌 시장에 대한 기대감은 점점 커질 거 같습니다. 

 

 

뮤직레이블, 국내 최대 스타 보유, 오리지널 콘텐츠까지, 카카오M

 

 

카카오M이 아이유가 있는 단순 연예기획사라고 생각했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산하 레이블(연예기획사?)이 있어 좀 놀랐습니다.(비관심분야;;) 음원, 은반 유통, 음악 콘텐츠 투자, 제작, 연예 매니지먼트, 영상 콘텐츠 제작, 유통 및 커머스 사업 등등 넓은 범위로 카카오가 나가있더군요. 아이유 외의 소속 가수와 배우, 모델도 꽤 많았고요.

일과 사생활을 '익숙함'으로 분리하다, 카카오 워크

 

 

시도때도 없이 울려대는 업무용 카톡으로 시달리는 사람들에겐 희소식, 업무용 카톡인 카카오 워크도 출시 예정입니다. 카카오톡과 비슷하여 익숙한 인터페이스에서 일과 사생활이 분리된 업무용 플랫폼이라는 게 최대 강점일 것 같습니다. 

IR발표자료의 마지막 부분은 재무 성과는 2분기 실적보고서에 겹쳐지는 부분이라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올해 성공적으로 상장한 카카오게임즈와 그 뒤 상장이 예상되는 자회사, 카카오페이, 뱅크, 페이지 등등 카카오의 앞날이 더욱 궁금해집니다. 떨어질 때마다 도토리 조금씩조금씩 모으며, 더 공부해야겠다는 다짐으로 포스팅 끝.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