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

미국 제약사인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효과가 90% 이상이라는 소식이 발표된 날, 그야말로 미국 주식은 요동을 쳤습니다.(내 도큐사인 어쩔 T_T) 화이자와 공동으로 백신 개발에 성공한 독일 바이오엔테크 최고경영자는 개발된 백신으로 내년까지 코로나 팬데믹이 종식될 것이라고 발표까지 했다고 하네요.

화이자 백신 소식으로 그동안 코로나 직격탄을 맞았던 업종, 항공과 레저 관련 주식이 급등하였습니다. 아직 백신이 상용화되거나 코로나가 조금이라도 줄어든 상황이 아님에도 90% 효과를 본 백신 소식 하나에 우리나라 항공사도 큰 폭으로 움직였습니다. 대한항공 11.24%, 진에어 11.54%, 제주항공 11.11%, 티웨어 항공 10.00% 항공사마다 전 거래일보다 모두 10% 이상 급등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11월 13일(금), 우리나라 양대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인수 기사가 쏟아졌네요. 진짜 이 둘이 합쳐지면 초대형 국적 항공사가 탄생하는 건데, 정말일까 궁금해졌습니다. 

 

 

 

뉴스 빅데이터 빅카인즈 메인화면에서 제공되는 이슈란에 대한항공 한진칼 아시아나 인수가 보이네요. 각 언론사마다 쏟아져나온 기사들을 한 눈에 보기 편하기에 빅카인즈를 자주 이용합니다. 기사 제목만으로도 느껴지는 초대형 국적 항공사, 빅딜, 공룡항공사 등등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는 엄청난 큰 파장이 예상됩니다.

 

 

출처: 빅카인즈 메인 화면 내 오늘의 이슈

 

 

관련 기사들의 연관어 분석을 살펴보니 주요 키워드들이 보이네요. 구체적인 소식을 보기 위해 기사를 읽었습니다.

 

 

 

 

이번 인수설의 시작은 "KDB산업은행이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부터였습니다. 당초 인수전에 뛰어들었던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 인수가 무산된 뒤, 산업은행 쪽에서는 대한항공이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하네요. 산업은행에서는 아시아나항공 매각 무산 뒤 2조 4천억원을 투입해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고, 대한항공에서도 1조 2천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만큼, 항공업 구조조정과 효율화 차원에서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합니다. 이러한 인수에 대해서 산업은행은 "여러 가지 옵션 중에서 검토 중이지만 확정된 바 없음"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아는 바 없다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11월 13일(금),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 소식으로 두 기업의 주가를 다른 방향으로 마감을 했네요.

 

 

 

인수에 대한 소식에 대해서도 대한항공은 공시를 통해 해명을 내놓았습니다. 아시아나는 별다른 공시가 안 보이네요. 다음 주 어떤 소식이 나올지 살포시 챙겨봐야겠습니다.

 


 

출처: 대한항공 홈페이지, 홈페이지 하단 회사소개 > 투자정보 페이지에서 IR자료를 볼 수 있네요. :)

 

요기까지 보면 너무 아쉬워서, 대한항공에 대한 최근 증권사 리포트가 있을까 살펴봤더니 11월 초 하나금융투자에서 발행된 것이 있어 같이 읽어보았습니다.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 6분기 연속 마이너스 실적을 기록한 제주항공, 1,000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 아시아나항공. 이러한 위기 속에서 화물사업으로 수익을 낸 유일한 항공사인 대한항공을 응원하는 마음을 담아... :)

 

대한항공, 3분기에도 이어진 화물 호조에 따른 흑자 기조
하나금융투자(2020.11.06.)

 

3Q20 화물 수요 회복으로 영업이익 흑자 기록

2020년 3분기 대한항공 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6조원(YoY -52.8%, QoQ -8.3%), 76억원(YoY -93.6%, QoQ -94.6%)을 기록, 코로나19의 전세계 재확산으로 여전히 해외 여행에 대한 수요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음

대한항공 3분기
1. 국제선 여객 수송(RPK) 전년동기대비 92.6% 급감, 일부 국제선 노선 운항 재개 실시하면서 국제선 공급 78.3% 감소
2. 탑승률(L/F) 28.2% 하락, K-방역 산업 관련 품목 + 자동차부품을 비롯한 전통 화물 수요 회복세 전환
3. 화물 수송(FTK) 20.1% 증가, 동시에 기존 여객기를 통한 Belly Cargo 공급 축소에 따른 높은 수준의 운임이 지속
4. 화물운임(Yield) 전년동기 44.7% 상승, 영업이익 흑자 견인

잠깐 용어,  Belly Cargo

 

출처: 아시아경제(https://view.asiae.co.kr/article/2020090910364721038)

 

대형 여객기의 동체 하부의 화물실(Belly Compartment)에 적재되는 화물. 그 증가가 항공 화물운임의 급속한 저하를 초래. Belly Cargo용의 Container를 Belly Container라고 함(출처: 네이버 영어사전)

 

4분기 화물 성수기 효과 기대

대한항공 9월말 기준 총 31개국 60개 도시 노선 운항 중
한국인에 대한 입국금지 해제하는 국가 확대하나 미국, 유럽 등 전세계 코로나19 확산 지속
4분기에도 본격적인 해외여행 재개는 어려울 전망
단기적으로 트레블버블(방역 우수 국가간에 여행을 허용하는 협약) 체결 여부에 따라 일부 국제선 수요 회복 기대
화물의 경우 계절적 성수기로 돌입, 특히 올해 해외여행 포기가 연말 보복성 소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4분기 화물 수요 회복과 운임 상승이 동시에 달성 가능할 것으로 예상

코로나19에 따른 여객 수요 급감에 불구, 화물부문 호조를 통한 영업이익 흑자 기조 2개 분기 연속 확인

4분기에는 화물 부분 수익성 더욱 개선 전망 + 유상증자, 자산매각, 정부지원 등 단기 유동성 확보 움직임 긍정적

 

출처: 하나금융투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