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미트 Beyond Meat (BYND.US)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 버는 취미 구리 입니다.

최근 테크주의 부진으로 썰물같이 휩쓸고 나간 제 계좌를 다시 들여다보았습니다. 쭉쭉 오를 때는 몰랐는데 빠지고나니 알겠더라구요. 몇 개 안 담은 계좌인데 거의 대부분 테크주로 담았네요.

이번 계기로 다른 종목도 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전에는 아는 기업들을 잘 모르는 채로 담았다면 이번에는 먼저 공부하고 조정이 왔을 때 담자 생각해서 준비한 포스팅! 첫번째로는 고기 맛이 나는 고기, 정확하게는 진짜 고기 맛이 나는 가짜 고기 - 식물성 대체육 대표기업 비욘드미트 입니다.


‘진짜 고기 맛이 나는 가짜 고기’ 대체육

*진짜 고기처럼 만든 인공 고기
*크게 동물 세포를 배양한 고기와 식물 성분을 사용한 고기로 나뉨
*대체육 시장은 육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파괴와 지구온난화에 대한 비판, 채식주의자의 증가에 따라 향후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3667&docId=5946243&categoryId=43667

대체육이라 생각하니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콩고기였습니다. 어릴 적에 콩고기가 처음 나왔을 때 호기심으로 먹었던 기억은 그다지 유쾌하지 않습니다. 맛은 둘째치고 타이어 씹는 그 식감이란, 다시 경험해보고 싶지 않은 맛이었거든요. 그 뒤로 대체육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었는데, 최근 그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관심이 생긴 이유는
*육류가격 상승, 동물-사람간 코로나 교차 감염 우려로 대체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
*먹방을 규제한 중국, 음식낭비는 국가의 적,
기록적인 폭우로 닥친 중국의 식량 위기
*이제 나도 건겅하게 살아야겠다는 10g 정도의 양심? (어젯밤에도 신나고 고기 구워 먹었....)

포스트코로나19 시대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전보다 더 높아져 비건 트랜드가 더 대중화되지 않을까, 아직 크게 활성화되지 않은 대체육 시장은 블루오션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같이 들었습니다. 대체육류 선두업체인 비욘드미트가 궁금해졌습니다.

비욘드미트 Beyond Meat

2009년 미국 동물 애호가 이든 브라운 설립
음식과 기술이 결합된 푸드테크(Food-Tech)
식물성 원료, 진짜 고기같은 가짜 고기 생산
콩 등 식물 추출 단백질성분으로 대체육류 생산
대표제품은 비욘드 버거 패티, 소시지, 비프 등
2019년 5월 미국 나스닥 상장(BYND)

국내에서는 마켓컬리, 옥션, 동원몰 등에서 버거 패티가 판매 중입니다. 다른 제품은 검색해도 나오질 않네요.


마켓컬리 판매 페이지에서는 다른 몰과 달리 좀 더 자세한 설명들이 써져있었습니다. 직접 맛봐야할 알 것 같은 식감같은 부분도 기재되어 있는데, 콩고기 특유의 냄새가 없고 실제 고기보다 응집력이 떨어지지만 풍부한 채즙(육즙 아님 주의)으로 촉촉함과 단백함이 좋다고 써져있는 게 눈에 띄였습니다.

대체육과 관련하여 푸드테크도 한번 더 체크하였습니다.


푸드테크(Food-Tech)

식품과 기술의 합성어, 식품산업과 관련 산업에 4차 산업기술 등을 적용하여 이전보다 발전된 형태의 산업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술.

식품가공산업, 외식산업, 식품유통산업 등 식품산업과 농림축산수산업 등 연관사업 +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접목.

식품생산과정 로봇 투입, 소비자 식품 소비 정보 분석하여 맞춤형 상품/서비스 제공, 기존식품 대체제 개발 등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0942&docId=5704181&categoryId=32828)

 

도미노는 이제 테크기업으로 분류된다는 기사를 봤는데, 그또한 푸드테크의 일환이었고, 비욘드미트 역시 기존식품 대체개발로 푸드테크였네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푸드테크 시장이 점차 커진다고 하니 비욘드미트 외에 다른 사례들도 궁금해졌습니다. 우선 비욘드미트부터 끝내고 차근차근!

 


증권사 기업분석 리포트로 전문적인 정보도 확인하였습니다. IBK투자증권에서 최근 발생된 리포트 열독!

총 112,000여개의 전세계 유통채널
전세계 85개 국가 대체육 판매
미국, 유럽 등 선진국 비건 트랜드
식물성 대체육에 대한 수요 확대
코로나19 여파로 미국 내 육류 공급 부족, 가격상승
내년부터 유럽과 중국 등 아시아 지역 사업 확대

코로나 19 확산세 지속으로 하반기에도 푸드서비스 부문 실적 부진 예상, 리테일 부문은 고성장으로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중국, 작년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이어 올해 코로나19 바이러스 여파로 돼지고기 공급 부족, 가격 대폭 상승
대체육에 대한 수요 증가
중국은 전세계 육류 소비량 약 30% 차지하는 거대시장
생산 시설 구축을 통한 제품 가격 경쟁력 강화, 유통망 확대 > 중국 내 사업 성장 가능성 높음

1) JBS, 타이슨푸드 등 글로벌 육가공업체들의 일부 생산공장 가동 중단됨에 따라 육류 공급 차질 발생
2) 소고기, 돼지고기 등 육류 가격 상승
3) 동물과 사람 간 코로나 교차 감염 우려 증폭, 식물성 육류에 대한 관심과 실수요가 확대

레포트에 더 많은 정보가 있으니 꼭 챙겨보셔요 :)


차트 볼 줄 모르는 주린이. 8월에 샀어야 했.... 9월 초 가파르게 상승하다가 최근 약간 조정 중입니다. 가격 모니터링은 게속 해봐야겠네요. (예전 같으면 이름 알았으니 바로 사고도 남았음)

앞으로가 기대되는 대체육 시장과 비욘드 미트! 알아볼 수록 그 맛이 궁금해 쇼핑몰에서 한번 주문해봐야겠어요. 또 좋은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성투!


반응형